유니세프 “대북 지원물자 수주 내 운송위해 당국과 조율”

북한에서 어린이들이 예방접종하는 모습.
북한에서 어린이들이 예방접종하는 모습.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이 수주 내 북한에 추가 지원물자를 운송하기 위해 북한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니세프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공보담당관은 2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유니세프는 앞으로 몇 주 안에 더 많은 인도주의 지원물자를 북한에 보내도록 북한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공보담당관은 이러한 계획이 북한 주민들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UNICEF is working with the Government of DPRK to arrange for more deliveries of humanitarian supplies in the coming weeks, as part of its ongoing support to the people of DPRK.)

그러면서 지난달 말 북한에 도착한 유니세프의 지원물자에 대한 질의에 “검역과 소독 절차는 북한 당국에서 관리하고 있다”며 “이 과정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quarantine and disinfection processes are managed by the DPRK authorities, and we do not have any indication of how long these would take.)

유니세프는 이달 초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난 11월 말 북한에 어린이와 임산부를 위한 결핵과 홍역·풍진, 파상풍 백신(왁찐) 등을 열차로 운송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양실조 치료를 위한 식품과 식수 및 위생용품도 당시 북한에 함께 전달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 비정부기구(NGO) ACAPS(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최근 80개국 이상의 인도주의 지원 상황을 분석한 ‘인도주의 접근성 개황’(Humanitarian Access Overview) 보고서에서 인도주의 단체들의 대북 접근이 계속 제약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는 각 국가들에 대한 인도주의 접근 상황을 0~5점까지 총 6개 등급으로 분류했는데 북한은 3점, 즉 ‘인도주의 접근에 제약이 큰 국가’(High access constraints)로 꼽혔습니다.

보고서는 “지난해 4월 이후 북한에 남아 있는 유엔이나 비영리단체 외국인 직원이 없다”며 “국제 인도주의 단체들은 지원물자를 북한에서 배분하기 위해 현지 직원들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로 인해 지원물자 배분에 대한 북한 당국의 통제가 심화돼 결국 물품이 잘못 배분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수준 높은 의료진과 의료 장비가 부족한 북한의 취약한 보건 체계는 특히 시골 지역에서 필수 보건이나 식수·위생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계속 제한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북한에서는 코로나 확진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됐는데 이는 제한된 검사 역량 때문”이라며 북한은 코로나 백신 지원에 대한 외부 제안을 여러 차례 거절했다고 적시했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북한 당국의 코로나 봉쇄 조치가 북한 주민들의 이동과 무역, 인도적 대응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김소영,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