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 속 지난해 북 스위스 시계 수입 ‘두배’ 증가

0:00 / 0:00

앵커 : 지난해 북한의 스위스 시계 수입액이 전년보다 두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3일 스위스시계산업협회(Federation of the Swiss watch industry,

FHS)로부터 입수한 스위스 시계 대북 수출 통계에 따르면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북한이 수입한 스위스 시계 가치는 약 2만3,500달러(2만2,862스위스 프랑)로 집계됐습니다.

여기에는 손목 시계 106개와 시계 부품이 포함됩니다.

이는 2018년 같은 기간 시계 수입액 1만 2,070달러(1만1,747프랑)의 약 두배에 해당합니다.

과거 통계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2012년 북한의 스위스 시계 수입액은 약 20만 5,000달러(20만225프랑)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이듬 해인2013년 북한의 스위스 시계 수입액이 절반 수준인 약 10만 9,000달러(10만6,418프랑)로 떨어진 후 점차 감소세를 보여 2015년 약 8만1,000달러(7만9,016프랑), 2016년에는 약 1만 5,000달러(1만5,106프랑)로 급감했습니다.

이후 대북제재 이행이 강화되던 2017년 북한의 스위스 시계 수입액은 약 2만2,000달러(2만1,377프랑)로 소폭 상승했다 2018년 약 1만2,000달러(1만1,747 스위스 프랑)로 또 다시 반토막 났습니다.

스위스시계산업협회 측은 지난해 북한의 스위스 시계 수입액이 전년 대비 두배 가까이 증가한 이유에 대한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 질문에 “북한은 스위스 시계 수출시장의 매우 작은 부분으로 변동이 심한 편”이라며 “대북 시계 수출시장에 대해 깊게 분석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North Korea is a very very small market for the swiss watch industry. There is a high volatility in results. We don‘t make deep analysis on this market.)

협회 측은 특정 사치품 수출을 금지하는 대북제재 이행과 관련해 “스위스는 유엔 대북제재를 준수하는 국가로 지난해 스위스가 북한에 수출한 시계는 대북제재가 규정한 사치품 가격한도 1,000프랑(약 1,000달러) 이하인 215프랑(약 220달러)”라고 설명했습니다.

(Switzerland respects the UN sanctions. The average price for the swiss watch exports to North Korea is 215 CHF for 2019 (Jan-Nov), which is below the sanctions (1000 CHF export price).

협회는 다만 스위스 외 다른 국가를 통해 북한으로 수출하는 스위스 시계에 대해서는 통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Of course, we cannot have control on the other supplying channels (other countries of imports))

협회의 필립 페고라로 재정 담당자는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스위스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직접 나서 대북 수출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전했습니다.

페고라로 재정 담당자 : 대북 제재 품목에 가격 제한이 있기 때문에 북한에 수출하는 시계가 비싸지 않은 이상 걱정되지 않습니다. 유엔안보리 측이 여기 와서 수출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한편 사치성 명품 시계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를 통해 대북 수출 금지 사치 품목에 포함됐습니다.

청소년기를 스위스에서 보낸 김정은 위원장은 고급 시계 등 스위스 명품을 개인적으로 선호할 뿐만 아니라 간부들 선물용으로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