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사무총장 “북한과 '인도지원' 논의 지속…대북 접근엔 한계”

0:00 / 0:00

앵커: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 사태가 대북 인도주의 지원활동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는 가운데, 세계식량계획은 북한 지도부와 관련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북 지원에 있어 접근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데이비드 비슬리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19일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과 관련해, 북한 지도부 및 자금 공여에 관심이 있는 국가들과 논의를 계속 이어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슬리 사무총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관한 화상 대담회에서,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제약이 많은 운영환경에서 이 기구의 대북 지원활동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와 북한 식량안보 실태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비슬리 사무총장은 특히 현재 약 80만 명의 북한 주민들을 지원하고 있다며, 대북지원에 있어 접근성과 독립성, 지원자금 등 3가지 요소를 강조했습니다.

비슬리 사무총장: 만약 우리(세계식량계획)가 첫 번째로는 자금이 없고, 두 번째로는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활동)할 수 있는 운영적 독립성이 없다면, (지원 활동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항상 자금이 물론 문제가 되어왔는데, 이와 동시에 적절한 접근성(right access)을 확보하는 것 역시 그랬습니다.

그는 또 지난18개월 동안의 북한 식량안보 평가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지난해의 경우 가뭄과 갑작스런 홍수로 인해 농작물 수확에 대한 상당한 우려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중국의 대북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game changer)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비슬리 사무총장은 또 현재 한반도 정세를 직접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많은 논의가 있고 많은 긴장감이 있다"며, 무고한 사람들이 피해(penalize)를 입길 원하지 않는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세계식량계획의 엘리자베스 바이어스 대변인은 앞서 지난 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의 인도주의 상황이 여전히 암울하다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소했습니다.

바이어스 대변인은 북한 전체 인구의 40%, 1천만 명 이상의 북한 주민들이 인도주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특히, 북한 주민 1천 40만명이 깨끗한 식수와 용수에 대한 접근이 어렵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이어 올해 세계식량계획이 대북사업을 통해 북한 주민 120만 명을 대상으로 식량을 지원하길 바란다며, 올해 대북사업을 위해 미화 5천 4백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세계식량계획은 지난달 말 공개한 '코로나19: 외부 상황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아시아 지역 국가 중에서 영양지원 활동이 중단(suspended)된 국가 중 하나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