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올해 대북지원 규모 변경 계획 없어

0:00 / 0:00

앵커 :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은 올해 대북지원 규모를 변경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데이비드 비슬리 사무총장과 함께 최근 방북했던 세계식량계획의 실케 버(Silke Buhr) 아시아지역 대변인은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내 세계식량계획 활동을 직접 보고 북한 당국과 향후 지원사업을 협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대북지원사업은 올해 말까지 변화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버 대변인은 비슬리 사무총장이 이날 한국에서 기자들과 만나서 북한에 “추가 지원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지원사업을 변경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올해 말까지 어린이와 임산부 등 북한의 취약계층 약 80만명에 매달 영양강화식품을 제공한다는 계획이지만 실제로 유엔 식량구호기구의 지원을 받는 북한 주민은 계획의 절반 가량에 그치고 있습니다.

버 대변인은 지난달 북한 주민 약 50만명에게 1천200톤의 영양식품을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한달 전인 3월의 약 46만 명에 1천 443톤의 비타민과 미네랄, 지방 등이 함유된 영양 강화식품을 지원한 것보다 조금 줄었습니다.

버 대변인은 세계식량계획의 대북지원은 국제사회의 자발적인 모금에 따라 지원 규모가 결정된다면서 재정부족으로 대북지원 활동이 순조롭지 못하다고 전했습니다.

버 대변인은 인도주의 지원이나 자발적인 모금이 정치와 분리돼야 하지만 북한의 군사적 도발 등으로 최근 몇 년간 국제사회의 북한을 돕는 모금 규모가 급격히 줄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과 북한의 대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계기로 국제사회의 기부 규모도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버 대변인은 비슬리 사무총장이 북한 당국자와 만남에서 지원 식량 등의 분배ㆍ감시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북한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화답을 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과 북한 당국이 공동으로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상세한 식량안보 조사를 실시하는 논의도 진행 중이라고 버 대변인은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