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사무총장 “북한 내 모든 활동, 유엔 결의 엄수”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데이비드 비슬리 사무총장.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데이비드 비슬리 사무총장. (AP PHOTO)

0:00 / 0:00

앵커 : 데이비드 비즐리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북한에서 실시되고 있는 세계식량계획 활동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비즐리 세계식량계획 사무총장은 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에서 지난 6일부터 개최되고 있는 국제경제포럼 참석에 앞서 “세계식량계획이 북한에서 실시하고 있는 모든 활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비즐리 사무총장은 세계식량계획 본부가 있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유엔 안보리는 제재 조치가 인도주의 활동에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고 반복적으로 언급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는 북한 주민을 위한 인도주의 활동에 대해서는 예외 조항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세계식량계획이 북한 정부와 지속적인 접촉을 유지했으며, 이 덕분에 감시 능력이 향상됐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북한 정부 내 통계부서와 긴밀히 협조해 이전에는 몰랐던 정보도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비즐리 사무총장은 북한에서 장기적으로 자연재해 회복력이 향상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수년간 러시아를 비롯한 국제 사회의 기부 덕분으로 대북지원이 가능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는 현재 대북지원의 최우선 순위는 음식에 대한 긴급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세계식량계획이 북한 내 9개 지역에서 약 77만명의 주민들에게 영양지원을 하고 있다며, 북한 내 11개 공장에서 영양강화 비스킷 등이 생산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세계 지도자들이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야 할 첫번째 일은 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라고 말하고, 그래야만 평화와 식량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비즐리 사무총장은 지난달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을 잇따라 만나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긴급 지원 필요성을 설명한 바 있습니다.

비즐리 사무총장 : 우리는 북한 식량 상황에 대해 무척 우려하고 있습니다. 해법을 찾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지난 5일 세계식량계획 등 국제 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에 800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