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은 내년부터 3년 동안 북한에서 진행할 신규 지원 사업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양상태가 나쁜 어린이와 임산부에 대한 지원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식량계획은 내년부터 3년 계획의 새로운 대북 영양지원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이번 주 공개한 북한 국가보고서(Country Brief)에서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2019년에서 2021년까지 북한에서 진행할 ‘임시 국가전략계획(Interim Country Strategic Plan)’을 작성하고 있으며 내년 2월 열릴 세계식량계획 이사회에 이를 제출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임시 국가전략계획은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기아를 없애고 영양실조를 줄인다는 유엔의 국제지원 공동목표를 달성하는데 초점이 맞춰집니다.
이를 위해 북한의 취약계층 집중지원, 재해지역 집중지원, 재해민 연중지원 등 세 가지 대북 지원전략을 세웠습니다.
북한 내 취약계층 지원은 7세 이하 어린이와 임신부와 수유모를 비롯해 결핵 환자들을 대상으로 미량영양소 지원 등을 통해 영양실조를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재해지역 집중지원은 자연재해로 식량이 부족한 주민들에게 긴급하고 신속하게 식량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식량부족 등 위기에 처한 북한 주민에 대한 연중지원 태세를 갖추는 방안도 임시 국가전략계획에 포함됩니다.
조셉 맥휴(Joseph McHugh) 세계식량계획 아시아담당 대변인에 따르면, 이 기구는 지난 9월 한달 동안 북한 주민47만 6천여명에게 약 1천 톤의 영양식품을 제공했습니다.
45만 8천여명에게 1천60톤의 영양식품을 제공했던 지난 8월과 거의 비슷한 규모입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지난 몇년 동안 중단됐던 북한 가정의 ‘식량보유현황평가’를 오는 11월과 12월에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전국의 협동 농장과 가정을 직접 방문해서 식량보유 현황을 파악한다면서 정확한 진단으로 실질적인 지원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세계식량계획 측은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