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WFP 통해 5만톤 대북 쌀 지원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가 북한의 식량난에 대응하기 위해 WFP, 즉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쌀 5만톤을 북한에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WFP, 즉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쌀 5만톤을 북한에 지원합니다.

김연철 한국 통일부 장관 : 한국 정부는 북한의 식량상황을 고려하여 그간 세계식량계획(WFP)과 긴밀히 협의한 결과 우선 한국산 쌀 5만 톤을 북한에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19일 기자설명회에서 “WFP를 통해 지원되는 식량이 북한 주민에게 최대한 신속히 전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에 쌀을 지원하는 것은 지난 2010년 이후 9년 만으로,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쌀 지원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통일부는 이번 식량지원에 대해 “생존의 위협을 받는 북한 내 주민을 위한 최소한의 긴급지원 성격”이라면서 “식량 부족상황을 최소한으로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한미가 협의해 아무런 조건 없이 식량지원을 추진함으로써 남북, 미북 간 신뢰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통일부는 이번에 지원하는 식량의 전용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포대에 ‘대한민국’을 명기하는 한편 WFP가 북한 내에 상주하면서 구축한 분배와 감시 체계도 가동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벼를 쌀로 도정하면 보통 6개월 안에 소비해야 한다면서 북한이 쌀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연철 한국 통일부장관 : 벼를 쌀로 도정하게 되면 여름철 같은 경우에는 한 석 달 정도, 일반적으로는 6개월 안에 소비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정된 쌀을 전용하거나 비축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고요.

한국 정부는 WFP와 수송 경로, 일정 등에 대한 세부 협의를 마친 뒤 쌀 지원에 필요한 남북협력기금 지출을 위해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 심의와 의결 절차를 밟을 계획입니다.

이후 한국 내 항구에서 쌀을 인계받은 WFP가 대북 운송까지 맡습니다.

통일부는 “WFP와의 협의와 남북협력기금 예산, 과거 지원 사례와 북한의 식량 부족분, 한국내 쌀 수급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규모를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번 지원의 진행상황과 북한의 식량사정 등을 감안해 추가적 식량 지원도 계속 검토할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는 앞서 WFP와 FAO, 즉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북한의 식량 사정이 최근 10년 사이 최악이며 올해는 136만 톤이 부족하다는 긴급조사 결과를 지난달 발표하자 본격적인 대북 식량지원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이달 초에는 국제기구를 통해 현금 800만 달러를 공여하는 방안을 재의결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1995년부터 여러 차례 북한에 쌀을 지원했지만 모두 차관이나 무상 지원 방식의 직접 지원이었고 지난 2010년 북한의 수해 긴급구호를 위한 쌀 5천톤 지원이 마지막이었습니다.

국제기구인 WFP를 통해서는 옥수수와 밀가루, 분유 등을 지원하거나 현금을 공여하는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져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