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국 파견 노동자 통제 위해 보위지도원 대폭 증원

0:00 / 0:00

앵커: 북한당국이 새해 들어 중국에 파견한 노동자들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보위요원을 대폭 증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내 북한 노동자의 사상적 해이와 탈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단둥의 한 소식통은 14일 “새해 들어 북조선 당국이 노동자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보위 요원들을 추가로 파견하여 모든 사업장에 배치를 완료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지금까지는 북조선 노동자가 백명 미만인 사업장들은 보위지도원 한 명이 복수의 사업장을 통제하고 감독을 해 왔는데 요즘에는 소규모 노동자들이 일하는 사업장까지 빠짐없이 북조선 담당 보위요원이 한 명씩 파견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이들의 명칭은 보위지도원 또는 부지배인 등인데 얼핏 보기에는 북조선 노동자를 총괄 대표하는 지배인의 아랫사람으로 지배인의 지시를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배인도 이 보위지도원의 통제와 감시대상이며 보위지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면서 “지배인을 포함한 모든 노동자의 여권이나 도강증도 이 보위지도원이 일괄 보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보위지도원이 북조선 노동자들이 있는 모든 사업장에 파견되면서 그동안 보위지도원이 상주하지 않던 사업장의 북조선 노동자들은 ‘이제 봄날은 갔다’며 아쉬워하고 있다”면서 “보위지도원이 상주하지 않았을 때는 지배인의 재량으로 휴일 날에는 외출도 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그런 건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단둥의 외곽도시 뚱강(東港)에서 봉제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남한의 한 기업인은 “우리 공장과 길 건너 마주보고 있는 중국의 식품 가공회사에는 50여 명의 북한 여성 노동자들이 근무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공장 출입문 옆에 있는 식료품 가게를 드나드는 모습이 자주 목격 되었는데 요즘에는 그들의 모습을 볼 수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처음에는 모두 귀국한 것으로 생각되어 식료품 가게 주인에게 (귀국여부를) 물었더니 귀국한 게 아니라 회사 문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통제를 당하고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면서 “북한에서 새로 보위지도원이 파견되어 노동자들이 필요로 하는 물건은 회사직원이 일괄 구매해 들여가도록 조치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새로 부임한 보위지도원이 거주할 숙소와 이들의 생활비로 북한 측에서는 해당 중국기업에 월 2만위안 정도를 지원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고있다”면서 “이는 노동자 10 여명의 노임에 해당하는 액수로 북한측과 중국기업 간에 이 문제로 다툼이 일기도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