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한덕인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를 타고 거꾸로 올라와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계속 반복되면 궤양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역류성식도염'을 주제로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기자: 역류성식도염이 흔한 소화기 질환 중 하나라고 하는데 이유는 뭔가요?
강유 동의사: 역류성식도염을 잘 알려면 우선 소화기 생리를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식도는 분문괄약근에 의해서 위의 내용물이 위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조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위 내용물에 펩신과 위산이 지나치게 많거나 위가 냉하거나 기능이 떨어져 있으면 위의 연동운동이 잘되지 않으면서 위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위안에 있던 위산이 분문괄약근을 자극하여 위 분문부가 열리면서 위의 내용물이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위 분문부 괄약근에 염증이 있을 때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위 분문부 괄약근에 염증이 생기는 것은 위의 연동운동이 잘 안되거나 과도하게 오랫동안 술과 매운 음식을 먹어 위를 자극한 데서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소화불량을 치료하지 않고 오랫동안 내버려두면 위 분문부의 괄약근을 자극하여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역류성식도염은 신물을 토하는 것도 있지만 역류성식도염으로 식도협착과 식도궤양 같은 질병으로 번질 가능성이 큽니다.
기자 : 역류성식도염이 있으면 어떤 증상이 생기나요?
강유 동의사: 역류성식도염은 주로 소화기 장애로 오는 것이 대부분이고 어떤 경우에는 알코올 과다 섭취로 해서 발병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을 먹으면 시큼한 트림과 위 내용물을 토하며 항상 상복부 아픔과 묵직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배를 촉진하면 복부 중앙이 뜬뜬하고 음식물이 역류할 때는 가슴이 화끈한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역류성식도염에 걸리면 매운 음식과 시큼한 음식을 먹으면 즉시 속이 치밀어 오르는 감이 나타납니다. 역류성식도염이 있는 사람은 식사를 제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입니다.
기자: 저녁 시간 이후로 역류성식도염 증상이 심해지는 사람들이 많다는데 왜 그런 건가요? 또 계절적으로 조심해야 할 때가 있습니까?
강유 동의사: 많은 사람들은 낮에는 피곤하고 일이 몰리다 보면 식사도 제대로 못합니다. 그러나 저녁에는 일과가 끝나는 시간이므로 안도의 마음을 가지고 식사도 다른끼보다 많이 먹습니다. 그런데 저녁 시간은 주로 잠자는 시간이므로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위의 연동운동을 심장이 혼자 맡아 하게 됩니다. 심장이 안 좋은 사람이나 심장 기능이 떨어진 사람은 저녁 음식을 과식하면 심장마비에 걸리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먹은 음식이 천천히 소화되면서 위 내용물이 커지며 위벽은 물론 위 분문부 괄약근을 자극하면서 역류성식도염이 발병하거나 진행되게 합니다.
제가 임상에서 수많은 소화불량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경험한 데 의하면 위에 생기는 만성질병은 주로 가을과 봄에 도집니다. 이렇게 환절기에 도지는 질병들이 몇 가지 있지만 그중에서도 만성위병이 대표적으로 계절성을 띱니다. 더운 계절에서 찬 계절로 변하면서 위 신경들이 위축되면서 생기는 증상이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습니다. 봄은 봄대로 산천초목이 재생하는 시기여서 만성질병도 함께 재생하는 것이라 봅니다.
기자: 역류성식도염이 우리 건강에 심각할 정도로 안 좋은 질환입니까?
강유 동의사: 역류성식도염은 한번 걸리면 치료가 잘 안되는 질병중의 하나입니다. 그것은 위의 기능을 보면 쉼 없이 연동운동을 하여 먹은 음식을 소화 시키는 장내 장기중의 하나입니다. 특히 위 분문부 괄약근은 항시적으로 조이는 역할을 하면서 긴장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조여있는 상태에서 음식을 먹으면 위산이나 펩신이 그리고 여러 가지 위액들이 위의 연동운동과 함께 지속해서 위 분문부 괄약근을 자극하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운 것입니다. 몸통의 피부는 상처가 나서 반창고를 붙이면 쉽게 낫는 것은 상처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역류성식도염은 잘 낫지 않고 재발도 그만큼 많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한의에서는 역류성식도염을 어떻게 치료하나요?
강유 동의사: 네. 한의에서는 역류성식도염을 치료해서 효과를 많이 보고 있습니다. 한약에는 염증을 치료하는 약과 제산하는 약 그리고 소화가 잘되게 하는 약이 많습니다. 역류성식도염이라고 진단 내리면 그 사람의 음양 상태를 봐서 양인이면 위화를 없애는 한약과 위 분문부 괄약근 염증을 없애는 약, 그리고 위산을 억제하는 약과 함께 소화제를 처방하여 탕약으로 치료합니다. 술과 담배. 매운 음식과 정확한 식사 시간을 지키는 절제있는 생활을 하면서 탕약을 사용하면 거의 모든 예에서 완치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소화가 잘되고 역류성이 없어지면 입 냄새도 없어질 수 있습니다.
기자: 음주나 과식을 하거나 상한 음식을 먹어서 토를 하는 것도 역류성식도염과 비슷한 건가요?
강유 동의사: 어쩌다가 한 두번 술 마시고 혹은 과식하고 토하는 것은 역류성식도염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식생활이 장기적으로 습관화되고 이런 음주가 자주 반복되면 나중에는 역류성식도염으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역류성식도염을 앓는 환자들을 관찰하면 식생활이 고르지 않습니다. 거친 음식을 먹었다고 해서 절대로 역류성식도염에는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좋은 음식을 폭음하거나 폭식하면 반드시 역류성식도염에 걸릴 확률이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들은 지금은 젊어서 넘어가지만, 나이가 많고 힘이 없으면 즉 면역력이 떨어지면 반드시 역류성식도염이 올 가능성이 매우 크게 나타납니다.
기자: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이 있습니까?
강유 동의사: 네. 역류성식도염에는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은 있습니다. 다만 강냉이밥이나 보리밥을 먹었다고 역류성식도염에 걸리는 것은 아니고, 이밥과 고기반찬만 먹는다고 역류성식도염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론은 없습니다.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음식은 거친 음식이라도 식사 시간을 지키고 많이 먹었다 적게 먹었다 하는 식사 편향을 없애는 것과, 늘 식사 시간과 음식의 양이 고르면 역류성식도염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술을 과도하게 마시고 식사를 많이 했다 적게 했다 하면 이런 사람은 반드시 역류성식도염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기자: 어떻게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예방하고 관리해 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강유 동의사: 역류성식도염은 위내시경이나 검사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진단받은 후에 자기가 어떻게 생활 섭생을 잘해 나가는가 하는 것이 역류성식도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관건으로 된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식사시간을 정확하게 지키고 식사의 양을 고르게 하면서 소화가 잘될 수 있도록 운동을 배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녁에는 절대로 과식하지 말아야 합니다. 낮에 힘들게 일하고 배고프다고 저녁에 식사를 많이 하면 위만 상하는 것이 아니라 심장 기능도 떨어진다는 것을 우리는 명심해야 합니다.
열성질병이나 급성 질병들은 즉시 나타나지만, 만성적인 질병은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지금 병이 없고 건강하다고 자신하면서 내 몸을 혹사하면 그것이 병을 일으키는 발단이 되고 만성질병을 만들게 됩니다. 건강관리는 젊어서부터 해야 합니다. 그래야 그 젊음을 오래 유지하고 노화도 천천히 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식사는 따뜻하게 하고 시큼하고 매운 음식을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먹고 싶다고 먹고 싶은 대로 먹어서는 절대로 역류성식도염을 비롯한 소화기 질병들을 예방할 수도 없고 고칠 수도 없습니다. 찬 날씨에 건강관리 잘하여 모든 분들이 소화기 질병에 걸리지 않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기자: 강유 선생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강유 동의사: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요.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역류성식도염’을 주제로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 유 선생님, 진행에 한덕인입니다.
참여자: 동의사 강유, 진행: 한덕인,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