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한덕인입니다. 요즘과 같은겨울철에는 피부가 가렵다거나 피부 문제로 인한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유독 많아집니다. 차갑고 건조한 겨울 공기는 피부 건강에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겨울철 피부질환'을 주제로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기자: 겨울이 되면 피부건조증과 같은 피부질환이 유독 악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강유 동의사: 네. 겨울철에는 북극에서부터 찬 공기와 바람이 불면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부건조증과 같은 피부질병이 발병하게 됩니다. 피부건조증은 여러 가지 피부병을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면 추운 날씨는 우리 몸의 신경을 위축시키면서 피부에 두드러기와 같은 가려움증을 일으킵니다. 이런 피부병은 겨울에 제일 많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잠을 충분하게 자지 못했거나 운동을 하지 않으면 낮보다 밤에 전신 가려움증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밖에서 찬 공기를 계속 쐐거나 찬물과 접촉하는 작업을 하고 집에 오면 피부가 벌겋게 되면서 가렵고 저린 증상이 나타나서 일을 못 할 정도로 몸에 영향을 주는 이런 증상을 한랭성 알레르기(두드러기)라고 합니다. 한랭성 알레르기는 찬기운이 피부를 수축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피부를 새하얗게 만들면서 통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때 바로 뜨겁게하면 아픔이 심하기 때문에 상온에서 서서히 혈액순환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때는 손가락 끝이 마비된 것처럼 감각이 없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을 때는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혈색이 돌 때까지 휴식하면 후유증이 없습니다.
기자: 피부가 가렵다고 긁는 것은 괜찮나요?
강유 동의사: 가려워서 긁으면 긁은 곳에는 손톱자국이 남게 되는데, 이 긁은 자리가 오염이 되면 피부가 화농하게 됩니다. 근데 이런 상처는 딱지가 앉아도 가렵기 때문에 딱지가 떨어지면 또 화농되는 증상을 반복하게 됩니다. 피부가 가려우면 누구나 긁습니다. 그러나 피부에 두드러기가 났을 때 긁어 상처가 나면 그것이 화농의 기초가 되고 피부병을 일으키는 근원이 될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가려운 곳에 화끈 단감이 나면 찬 것으로, 아픔을 동반한 가려움증이라면 찬 것으로 찜질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렴움증이 있는 곳은 피부의 이상 반응이 있는 곳이므로 정황을 잘 판단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모든 종창은 동상 된 피부를 손으로 만지었거나 가렵다고 오염된 손으로 피부를 긁어서 발생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기자: 겨울에 특히 많이 생기는 피부질환의 종류와 증상은 무엇인가요?
강유 동의사: 겨울에 많이 발병하는 피부질환은 피부가려움증에 의해 생기는 종창인데, 가렵다고 긁어서 상처간 난 피부가 감염되어 부어 오르는 종창이 된 것을 말합니다. 피부에 난 부스럼이나 종창은 곪는 상처이므로 다른 곳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제때에 피부연고를 바르던지 진료소에 내원하여 진단받고 상처를 치료받아야 합니다. 피부에 생긴 감염 창은 진물이 흐르면서 옆으로 퍼집니다. 이렇게 상처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오염된 손으로 상처를 만지지 말아야 합니다. 상처 노출로 인한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붕대로 상처를 덮던가, 붕대로 상처를 덮은 후에 반창고로 고정하여야 합니다.
기자: 이런 겨울철 피부질환이 생겼을 때 스스로 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이 있을까요?
강유 동의사: 겨울에 생기는 감염 창(창상 감염)은 찬 날씨 때문에 잘 아물지 않습니다. 그리고 동상에 걸릴 수 있어 손과 발에 상처가 생기면 몸을 따뜻하게 하여야 합니다. 만약 피부에 상처가 생겼다면 절대로 손으로 상처를 만지지 말아야 합니다. 산에 땔감을 구하러 갔다가 도구에 의해 상처가 났다면 깨끗한 천으로 상처를 동여서 출혈을 막는 한편 상처가 오염되지 않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집에 와서는 상처를 소금물로 씻고 소염약을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피부 상처는 무엇보다 깨끗한 천으로 붕대하고 상처 부위를 따뜻하게 보온해야 빨리 아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처는 3일에 한번씩 붕대를 풀고 소독한 후 세심하게 살펴보고 새 붕대로 갈아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상처가 화농할 수 있습니다.
기자: 피부질환이 일상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나요? 방치하거나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강유 동의사: 경미한 피부질환은 일상 생활을 못할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피부질환이 발이나 손과 같은 생활에 많이 사용하는 부위에 생기거나 움직이면 통증이 심한 것은 진단에 따라 생활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수많은 증상이 동반하는 피부질환도 있습니다. 오늘은 먼저 가정에서도 치료할 수 있는 그런 일반적이고 경한 피부병에 대해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구에 의하여 상처가 나서 생긴 피부병, 그리고 추운 계절에 발병할 수 있는 피부질병인 피부두드러기와 피부소양증에 대한 위생 상식입니다.
외상에 의한 피부병은 상처가 클수록 빨리 치료해 완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상처가 오염되어 상처 부위를 더 크게 만듭니다. 이렇게 되면 치료가 더 힘들어지고 치료기일이 그만큼 길어집니다. 겨울에는 옷을 두텁게 입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피부세포 활동이 제약되어 가스교환이 잘 이뤄지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계로 상처에 산소공급이 잘 되지 못하고 대신 화농 속도는 빨라져 상처를 크게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병원에서는 피부병의 경중에 따라 붕대를 하고 상처를 개방하는 시간을 정하는 것입니다. 이런 피부병에 걸렸을 때 병든 피부를 일괄적으로 오래 붕대하는 것은 상처 회복에 오히려 장애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기자: 나이가 들수록 피부질환이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강유 동의사: 나이가 들면 피부부터 노화됩니다. 피부가 노화되면 각질이 많아지고 피부가 거칠어집니다. 노화는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게 하고 주름이 깊어지게 하며 피부에서 윤기가 없어지게 합니다. 이 모든 것은 노화로 재생세포는 적어지고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오는 탈락세포가 많아지면서 수명이 점차 단축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노화는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대신에 감염 위험을 높입니다. 이런 이유로 피부에 상처가 나면 잘 아물지 않고 오래 가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이 먹을수록 운동을 열심히 하는 것과 건강관리를 잘 배합하면 노화를 늦출 수 있으며 피부도 튼튼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겨울철 피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강유 동의사: 겨울철 피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면역력을 높여야 합니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운동을 하는 습관이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꾸준한 피부마사지를 통해 피부를 튼튼하게 해야 합니다. 건강한 사람들은 겨울철에도 냉수마찰을 빼지 않고 하는데 그런 사람들에게서는 피부병을 비롯한 감기도 발병하지 않습니다. 내 몸의 주인은 납니다. 내 몸의 건강도 내가 주인이기 때문에 자기 건강관리를 생활의 첫 수순으로 정하고 운동을 열심히 하여 모든 분들이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기자: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강유 동의사: 네.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겨울철 피부질환을 주제로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 한덕인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참여자:동의사 강유, 진행:한덕인, 에디터: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