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3.1운동 100돌이 되는 해입니다. 이 날을 맞으며 남한에서는 여러 가지 기념행사를 계획하면서 북한에 3.1운동 공동기념행사를 조직할 것을 제의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공동행사는 무산되었습니다. 북한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평가가 서로 다르기 때문일 것입니다.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부터 수 개월에 걸쳐 한반도와 세계 각지의 한인 밀집 지역에서 시민 다수가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일본 제국의 한반도 강점에 대하여 저항권을 행사한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이자 한민족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입니다. 한일합병 이후 일제의 무단통치로 우리민족은 자유와 권리를 무참히 유린당했고 가혹한 수탈, 특히 1918년 일본의 흉년으로 조선에서 쌀 약탈과 투기가 심화되어 쌀값이 3배로 폭등하는 등 주민들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1차세계대전 이후 파리강화조약에서 제시한 미국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론과 소련 레닌의 민족자결에 관한 이론에 힘입어 해외와 일본에서 대한독립선언서 2.8독립선언 이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편승하여 국내에서도 기독교 인사들을 중심으로 종교계 인사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만들었고 3월 1일 만세시위운동을 벌일 것을 계획했습니다. 3월 1일은 대한제국의 황제였던 고종의 장례식 날이었습니다. 군중은 만세시위에 나섰습니다. 3.1운동은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각계각층 민중들이 자발적으로 참가했습니다. 약 3개월 동안 시위가 지속되었는데 조선총독부의 공식 기록에 의하더라도 시위참가자수가 106만여 명이고, 그 중 사망자가 7,509명, 구속된 자가 4만 7천여 명이었습니다.
남한에서는 3.1운동을 특정 지도자 중심의 운동이 아니라 민중 주도 운동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식민지통치에 타격을 주고 대중의 민족적 각성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5.4운동에 영향을 주는 등 세계사적 의의를 갖는 운동이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북한의 평가도 이와 유사합니다. 남한은 3.1운동의 실패원인을 지도부가 부재한 상황에서의 산발적 저항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비폭력저항운동에 대해서도 긍정, 부정적 면을 다 같이 평가합니다. 무장한 일제와 비폭력으로 맞선 것은 무모하지만 당시 일본이 평화적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했다는 것이 전세계에 알려지면서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위상이 추락하게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남한에서는 3.1운동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촉발시켰다고 평가합니다. 3.1운동은 일본 제국주의 통치에 대해 반발한다는 민족의 합의가 이루어진 사건으로 민족의 합의에 의한 정부 수립의 근거로 작용했고 이 운동 과정에서 공화주의에 기초한 민주주의국가설립에 대한 요구가 보편화되었다고 봅니다. 다음 달인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남한은 대한민국은 임시 정부를 계승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남한 헌법에는 3.1 운동 정신을 계승하였다는 문구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3.1인민봉기는 첫째, 탁월한 수령의 영도, 혁명적당의 지도가 없이는 어떤 혁명운동이든지 승리할 수 없다는 것 둘째, 부르주아 민족주의는 독립을 이룩할 수 없다는 것 셋째, 윌슨의 민족자결론에 기대를 거는 등의 사대주의를 배격해야 한다는 것 넷째, 무장한 원수들과는 조직적인 무장투쟁으로 맞서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고 주장합니다.
북한은 남한과 달리 국가의 전통을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서 찾고 있습니다. 남북이 함께 가야 할 길이 정말 멉니다.
** 이 칼럼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