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북한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입니다. 북한지도부는 국가경제발전 5개년계획의 첫 해인 올해, 농업 전선을 주타격방향으로 정하고 식량문제를 자체로 해결해야 한다고 하면서 모내기 전투에 농민들은 물론 노동자, 사무원, 군인, 학생, 가정주부들을 총동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농민들은 올해 농사 전망에 대해 비관적입니다. 비료와 비닐 박막, 농기계를 비롯하여 농사에 필요한 기자재들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알려진 것처럼 코로나를 막기 위해 자체 방역을 강화하면서 북중 국경이 막혀 필요한 물자를 제때에 수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작년도 무역실적이 거의 없어서 자금사정도 여의치 않을 것입니다. 북한당국은 부족한 비료는 주민들을 동원하여 만든 분토로 보충하고 비닐 박막이 부족하다고 하면 전후 복구 건설 시기 목화씨로 기름을 짜서 냉상모판에 발라 비닐 박막을 대신한 천리마시대 선구자들처럼 비상한 각오로 난관을 이겨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의 남쪽은 같은 모내기 철이지만 조용합니다. 대부분 주민들은 모내기철인지조차 모릅니다. 학생들은 체험학습을 통해서만 벼가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이 다 도시로 빠져서 농촌에는 연세 드신 분들 밖에 없지만 기계화가 잘 되어 있어서 모내기를 하는데 품이 그렇게 많이 들지 않습니다. 그래도 바쁜 농사철에는 노력이 추가로 요구되므로 일당 노력을 사서 모내기를 하거나 도시에 사는 가족들이 와서 서로 얼굴도 보고 농사일을 돕기도 합니다.
요란스럽게 농사를 짓지 않아도 남한주민들은 먹는 문제 때문에 고민하지 않습니다. 남한주민들이 새해에 가장 많이 하는 결심이 ‘몸무게 줄이기’라고 할 만큼 남한에서는 어떻게 하면 잘 먹을까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적게 먹을까가 고민이 되고 있습니다. 북한식 표현을 빌면 남한에서는 먹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입니다.
왜 온 나라가 달라붙어 농사짓는 북한에서는 먹는 문제를 풀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농사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남한에서는 먹는 것이 남아돌아 걱정하고 있을까? 그 근본원인은 국가가 서로 다른 경제정책을 택했기 때문입니다. 남한은 시장경제, 북한은 계획경제, 남한은 경제의 세계화, 북한은 경제적 자립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사실 북한은 남한에 비해 농사에 훨씬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논이 적고 밭이 많으며 상당수가 기계화가 어려운 뙈기밭들입니다. 그리고 날씨도 남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기 때문에 곡식이 자랄 수 있는 적산온도가 보장되는 날이 적습니다. 그러므로 같은 노력과 자금을 투자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알곡수확량이 적습니다.
남한은 북한에 비해 농사 조건이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세계시장에 나가면 남한 농산물의 경쟁력이 높지 못합니다. 농사 조건이 북한에 비해서는 나은 편이지만 세계적으로 보면 유리한 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알곡 값은 외국이 훨씬 쌉니다. 그래서 남한에서는 쌀을 제외한 알곡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대신 남한에서는 질 좋은 공업제품을 만들어 외국에 수출하여 외화를 벌고 있습니다. 남한의 전자제품, 자동차, 선박 등은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공업 제품들입니다. 남한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보다 공업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훨씬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것입니다. 북한은 해방 직후에는 남한보다 공업이 훨씬 발전했었습니다. 그런데 자력갱생만 주장하다 보니 공업이 세계의 발전을 따라갈 수 없었고 식량 자급자족이라는 구호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북한주민들은 30여 년 시장에서 생계를 유지하면서 어떤 경제정책이 잘 살 수 있는 정책인지 온몸으로 깨닫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지도부만은 코로나를 구실로 자력갱생, 사회주의경제 복구를 강조하며 실패한 경제정책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 이 칼럼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