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원희의 여성시대입니다.
최근 북한 평양에서는 두번에 걸쳐 남한 예술단과 북한 삼지연관현악단의 합동공연이 있었습니다.
음향: 평양시민 여러분, 북측 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는 가수이자 배우 서현입니다
특히 첫 공연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깜작 참석하면서 많은 화제를 불러 모았습니다. 과거엔 이런 공연을 TV로 방송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번에는 어떤지요?
김: 텔레비젼 방영은 하지 않고 김정은이 참석을 했더라고요 그런 것을 보면 김정은이 주민들을 무섭게 통제 한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합동공연을 언론 보도, 또는 인터넷 영상 유투브이를 통해 보고 들었다는 북한 보안서에서 일했던 탈북여성, 김시연 씨와 함께합니다.
그동안 남한 예술단의 북한 공연에는 최고 지도자가 참석을 하지 않았던데요,
김: 김정일 때 한국예술단이 몇번 공연을 왔었는데 그때는 일반인들이 보게 텔레비젼으로 다 방송을 했어요 공연전체를…
그런데 이번에는 텔레비젼 방영은 하지않고 늘 하던 식으로 일반인들도 특별히 선정을 해서 관람하도록 했다고 말합니다.
김: 국가에서 평양 공공기관이나 평양시내에 있는 사람들 특히 남한측의 이런 공연을 봐도 잘 통제가 되는 사람들을 위주로 해서 공연을 보게 했는데 그런데 전에는 텔레비전에서 방송은 했었어요 그래서 저희도 텔레비젼으로 다 방송을 보았어요 공연전체를…
이런 공연을 그대로 일반인들에게 텔레비전 방송을 해주면 과연 그들이 어떻게 받아드릴지 김정은이 신경을 썼을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김: 얼마전에도 자본주의 날나리 풍을 없애라고 얘기를 했다는데 그런 것을 보면 남한 문화가 북한에 들어오는 것이 일반인들에게 퍼지는 것을 싫어하는 의미라는 얘기들이 있어요
김정은이 참석한 첫날 공연은 남한 언론들의 취재을 거부하고 한방송의 기자에게만 허용 한것을 두고 여러가지 의문낳게 했는데요, 북한은 어떤 계산으로 기자들을 초청해 놓고 이런일을 했는지 탈북민들도 어이없다고 말합니다.
김: 그렇게 하고 뒤늦게 김영철이 나와서 진행하는 사람들을 제대로 혐동을 못해서 그사람들이 그렇게 처리를 했다 미안하다고 얘기를 했지만 의도적으로 촬영, 취재를 못하게 한 것인지…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과는 인사치례로 한것이고 공연장에 김정은이 참석을 했기 때문인것 같다는 탈북민들의 의견이 많다고 하는데요 김영철 역시 행사에서 국무위원장의 신변을 지켜드리는 분들하고 공연 조직하는 분들하고 협동이 잘되지 않은 것 같다"고 했는데요, 김시연 씨의 얘기들어보죠.
김: 호위 규칙에 따라서 촬영기자들이 들어가서 촬영하면 혹시 모를 위험 상황을 대비해서 그런 조치를 취할 수 있어요 그리고는 돌아서서는 자기네가 실수 헸다 이런 식으로 처리한 방법을 쓴 것 같아요 북한의 김씨 일가에 대한 호위는 세계적으로도 특급 호위를 할 겁니다. 그랬기 때문에 김씨 일가가 지금까지도 건재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동안 북한에서도 김씨 일가를 뒤집기 위해 군대 내에서 엄청난 반란 기도들이 있었어요 다만 소문이 나지 않았을 뿐이지 제 동생이 군사 복무 할때 이런 일로 군단장 들도 숙청되는 것을 여러번 보았다고 해요 이렇게 김씨 지도자들에 대한 반항심이 있어도 철저한 김씨 일가에 대한 호위로 사전에 발각이 되어 성사를 시키지 못했는데 그렇게 때문에 호위를 위해서는 정말 최선을 다하고 있어요
김시연 씨는 예전에 남한 예술단이 공연 할 때 보다 이번 공연을 보고 북한 관객들의 호응과 표정이 많이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김: 예전에 공연을 할 때는 모든 사람들이 다 뻣뻣하게 앉아 있었거든요 그리고 노래가 끝나면 억지로 가볍게 박수를 치고는 가만이 앉아 있었는데 이번에 보니까 예전 보다는 많이 호응을 하고 표정들도 보니까 같이 웃어도 주고 특히 나이 많이 드신 할아버지 뻘 되신 분들은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박수를 아주 열광적으로 치는 나이가 지숙하신 분이 눈에 띄었어요 그분은 한국에 친척이 있다던가 해서 연관이 있지않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정말 열광적으로 박수를 치더라고요
공연전에 사전 교육같은 것은 없었는지 궁금하기도 한데요,
김: 구체적인 지시는 하지 않았을것 같아요 다만 우리도 한국에 가서 공연을 했으니까 남측 예술인들이 오면 너무 딱닥하게 앉아 있지 말고 호응을 하라는 얘기는 했을 겁니다.
아울러 평양 공연이기는 했지만 관객들의 모습을 보니 쉽게 남한 음악에 세뇌되거나 동요되지 않을 사람들일 것이라고 말합니다
김: 관람객들이 거의 모두 피부가 좋고 살이붙어 둥실둥실한 사람들도 많았고 미인들이 많았어요 미인들은 거의 예술단의 예술인들이 나와 앉아 있고 풍체가 좋은 사람들은 당 중앙위원회 청사라든가 평양시 인민 위원회에서 근무하는 간부들인것 같았어요 그들이 직접 공연을 보기 때문에 보면서 느끼는 감정이 다르잖아요 텔레비젼으로 시청하는 것 보다, 그러니까 그 공연을 보고 세뇌되지 않을만한 사람들을 모아 앉혀 놓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남한측 예술단들은 유명하고 노련한 가수들이라 무대나 텔레비젼에 많이 출였했었기 때문에긴장하지는 않겠다 싶었는데 그래도 처음에는 좀 긴장한것 같았지만 자유세계에서 살았던 모습은 감출 수는 없었다고 전합니다.
김: 우리 남한 예술인들이 분위기가 북한 관람객들이 호응을 한다고 해도 아무래도 분위기가 좀 싸하잖아요 그러니까 좀 긴장한 탓인지 약간 부자연 스러움이 있더라고요 그렇지만 자유롭게 살던 생활이 몸에 베인점은 여전이 나타나고 있더라고요. 북한 사람들이 보면서 아 자유세계에서 살던 사람들이라 저렇게, 북한 공연에서는 동작이 모두 일률적으로 하고 키도 같고 옷도 똑같잖아요 하지만 한국인들은 모두 개성이 있게 자기 나름대로 입고 노래 하면서 하는 동작들도 각 가수마다 취향에 따라 다르거든요
김시연 씨는 개인적으로 남한의 가수 서현의 사회가 돋보였다고 칭찬합니다
음향) 오늘 이렇게 뜻깊은 자리에서 저는 사회자로 인사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김: 서현이 너무 예쁘게 말을 하더라고요 말 어투가 상냥하고 여성스러운 느낌이 들잖아요 이것을 보면서 젊은 여성 관객들이 감동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북한에서는 즉석 공연으로 보기 힘든 남한의 걸 그룹 레드 벨벳의 공연이 관중들에게 어떻게 느껴 졌을지 궁금한데요,
음향 ) 레드 벨벳 노래
김: 한국에서 공연 할때는 춤 동작이 크고 활발했는데 동작이 조심스러워하는 것 처럼 느껴졌어요 한국에서 할 때 보다는….또 너무 현란하지 않았고 예전에 공연을 갔던 남한의 아이돌 그룹이 있었잖아요 그때 동작하고는 완전히 달라진 춤사위 였잖아요 북한의 젊은 세대들이 보면서 감동이 새로웠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런 춤은 젊은 이들이 따라하면서 유행이 될것 같아요
북한에서도 젊은 세대와 나이든 세대들의 레드 벨벳의 공연을 보는 관람객들의 표정에서 읽을 수 있었다는데요,
김: 나이 많으신 분들은 그렇게 춤 동작을 하면서 노래하는 것은 이해 못할 겁니다. 그런데 젊은 사람들은 감수성이 있다 보니까 새로운 문화에 반응하면서 귑엽다 발랄하다는 생각을 했겠죠
하지만 나이드신 관객들은 전혀 이해를 하지 못하고 의아 하다는 표정이 역력했는데요.
김: 당연히 놀랐을 거에요 가사도 잘 못알아 들었을 것이고 저도 잘 못알아 들어요 여기서 10년을 살았어도, 그런데 북한에서 그런 노래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그게 무슨 말인지 외국어인지 그렇게 생각하면서 보았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번 공연에서 남측 가수들의 노래를 들으면서 외국에서도 생활을 했던 김정은으로서는 레드벨벳 걸 그룹의 노래를 즐기지 않았을까 하는데요,
김: 옛날에는 김일성도 보지 못하고 숨겨진 아이로 자랐잖아요 그래서 스위스에서 숨어 살다시피 하다 김일성이 죽으니까 김정일이 고영희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기 자식들을 사람들앞에 내 세웠죠 성장기간 동안 외국에 나가 살았으니까 외국 문화에 익숙하죠 김정은 김여정 김정철은 이런 걸 그룹의 노래에 대해서는 익숙할 것 같아요
한편 공연이 모두 끝나고 관객들이 나오자 한국기자들이 공연이 어땠느냐, 어떤 노래가 좋았느냐는 등의 질문에 하나같이 카메라를 피하며 답변을 하지 않았던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요, 탈북자들은 여기서 잘못 얘기를 하면 정치범 수용소로 갈 수도 있는데 어떻게 답변을 하느냐고 반문합니다.
김시연 씨는 공연을 보면서 마지막 장면, 남북한 가수들이 모두가 눈물을 흘리며 불렀던 노래 ‘우리의 소원은 통일’ ‘다시만나요’가 아직도 가슴에 남아 있다고 하는데요
음향 : 우리의 소원은 통일
김: 북한 할아버지가 박수를 열심히 치고 감동해서 앉아 있는 표정보니까 고향 생각이 나서 저도 울면서 보았어요 가슴에 억눌려 있던 감정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 처럼 눈물이 났어요
김시연 씨는 남북 예술단 공연도 좋지만 이제는 더 늦지 않게 남북 이산가족 큰 틀안에 탈북민도 포함 되어 하루속히 북한 가족들이 상봉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김: 통일이 안 되어도 볼 수만 있었으면 좋겠어요… 왔다 갔다 몇년에 한 번이라도 볼 수만 있었으면……
음향 : 우리 다시 만나요
여성시대 RFA 자유아시아 방송 이원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