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로버트 에이브럼스 유엔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 진정한 목표인 항구적 평화가 달성될 때까지 정전협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27일 한국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에서 열린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 67주년 기념식.
로버트 에이브럼스 유엔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은 이 자리에서 정전협정 준수 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우리의 진정한 목표인 항구적 평화가 달성될 때까지 정전협정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정전협정이 체결된 67년 전부터 변하지 않은 한 가지 사실은 정전협정을 이행하려는 국제사회의 의지보다 한국의 안전에 기여하는 것은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한반도를 둘러싼 분위기에 변화가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1년 전까지만 해도 남북 간 긴장이 완화되며 낙관적인 분위기였지만, 최근 변화를 겪으며 다소 불확실한 상태로 변했다는 것입니다.
이어 “군사분계선 앞 ‘자유의 집’에 우리가 있다는 점이 바로 67년 전 정전 협정을 체결한 이유를 보여준다”며 그로써 전쟁에서 매우 값비싼 대가를 치르는 것을 멈출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다국적군은 한국 전쟁에서 한국 국민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무의 부름에 답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67년이 지나 항구적 평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유엔군사령부의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같은 날 오전 서울에서 열린 한국전쟁 70주년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식에서도 정전협정 준수의 중요성을 거듭 확인한 바 있습니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유엔군사령관 : 오늘 우리는 정전협정의 의미와 본래 일시적인 군 휴전협정이었던 정전협정의 조항을 수십 년이 지난 현재에도 집행해야 하는 이유를 돌아봅니다.
정전협정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인 강인순 한국 육군 소장도 기념식에서 “정전협정 서문에는 최후의 평화적 해결이 달성될 때까지 한국에서의 적대행위와 무장행동 일체의 완전한 중지를 보장하기 위해 정전협정을 체결한다고 명시됐다”고 소개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해야 할 첫 번째 과업은 최후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이라며 4·27 남북 정상회담과 9·19 남북 군사합의가 대표적인 예라고 말했습니다.
강 소장은 그러면서 최근 북한의 비핵화 및 제재와 관련한 미북 관계와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는 한반도가 항구적 평화로 가는 길에 아직 많은 위기가 있다는 점을 알려줬다며 “정전협정을 유지해 상호 적대행위를 중지시키는 것이 우리의 과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유엔중립국감독위원회 스웨덴 대표인 라스 올로프 코넬리우손 소장은 같은 자리에서 “정전협정의 정신에 따라 양자·다자 합의를 통해 비무장지대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있다”며 지난 67년간 그랬던 것처럼 스위스·스웨덴 중감위 대표들은 상시 근무체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