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조절,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시대! 하지만 탈북민들에게는 낯설기만한데요. 탈북민들이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교육이 시작됐습니다. <여기는 서울>에서 그 현장, 담아봅니다.
어떻게 살면 가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또 어떤 삶이 가치 있는 삶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탈북민들이 있는데요. <여기는 서울>에서 만나봅니다.
2014년, 탈북 청년 4명이 만든 봉사단체 ‘유니시드’는 자신들이 받은 장학금으로 서울역 노숙인들에게 도시락을 나눠주는 일을 10년 넘게 해왔는데요. 올해는 인천, 시흥 지역으로 활동을 넓혔습니다.
마음을 나누어 더 크게 만들고 그것을 다시,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그 현장, <여기는 서울>에 담아봅니다.
이맘때 가장 바쁜 사람들이 있습니다. 새 학년이 되는 학부모들, 특히 유치원을 졸업하고 오는 3월에 아이가 초등학교에 첫 입학하는 엄마들은 바쁩니다. 준비할 것도, 가르칠 것도 뭐가 그리 많을까요?
지난주 시작된 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추위에 몸은 한없이 움츠러드는데요. 그래도 사람들의 마음만큼은 따뜻한 것 같습니다. 독거노인들을 살피는 사회복지사들, 매주 혹은 매달 봉사활동에 참여하며 취약계층을 살피는 사람들까지,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을 주변에서 만나는 게 어렵지 않으니까요.
절기상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이 3일이었는데요. 서울에서는 동북권 지역에 새해 들어 첫 한파경보가 발효됐습니다.
아무리 마음을 잡아도 정든 사람과 헤어지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더 넓은 세상으로, 더 큰 꿈을 펼치기 위해 떠나는 것이라는 걸 잘 알면서도 말이죠.
매년 1월은 새로운 한 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마무리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유치원부터 북한의 소학교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에서는 졸업식을 앞두고 있으니까요. 탈북 청소년들이 다니는 대안학교도 마찬가집니다.
사투리와 방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한 전역에서 사투리를 기반으로 한 다채로운 행사가 열리고 있고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인터넷에서도 사투리가 인기 검색어로 오르고 있는데요. 북한 사투리도 예외가 아닙니다.